*은 개인적으로 외우는 방식으로 개인적 의견입니다.
정리 혹은 급한 경우에 참고하세요.
제목에 ⭐이 있으면 해당 내용 꼭 외우세요 시험에 잘나옵니다.
1. 프로그램 실행 여부에 따른 테스트
-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 할 때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에 따라 정적 테스트와 동적 테스트로 나뉜다.
정적 테스트 |
-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명세서나 소스 코드를 대상으로 분석하는 테스트이다. -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에 결함을 발견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의 개발 비용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. - 종류: 위크스루, 인스펙션, 코드 검사 등 |
동적 테스트 |
-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오류를 찾는 테스트로 소프트웨어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. - 종류: 블랙박스 테스트, 화이트박스 테스트 |
2. 테스트 기반에 따른 테스트
-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 할 때 무엇을 기반으로 수행하느냐에 따라 명세 기반, 구조 기반, 경험 기반 테스트로 나뉜다.
명세 기반 테스트 |
-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명세를 빠짐없이 테스트 케이스로 만들어 구현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이다. - 종류: 동등 분할, 경계 값 분석 등 |
구조 기반 테스트 |
- 소프트웨어 내부의 논리 흐름에 따라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확인하는 테스트 이다. - 종류: 구문 기반, 결정 기반, 조건 기반, 결정 기반등 |
경험 기반 테스트 |
- 유사 소프트웨어나 기술 등에 대한 테스터의 경험을 기반으로 수행하는 테스트이다. - 경험 기반 테스트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명세가 불충분하거나 테스트 시간에 제약이 있는 경우 수행하면 효과적이다. - 종류: 에러 추정, 체크 리스트, 탐색적 테스팅 |
3. 시각에 따른 테스트
-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 할 때 누구를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검증 테스트와 확인 테스트로 나뉜다.
검증 테스트 |
- 개발자의 시각에서 제품의 생산 과정을 테스트하는 것으로, 제품이 명세서대로 완성됐는지를 테스트 한다. |
확인 테스트 |
- 사용자의 시각에서 생산된 제품의 결과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요구한대로 제품이 완성됐는지 제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테스트한다. |
4. 목적에 따른 테스트
-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 할 때 무엇을 목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느냐에 따라 회복, 안전, 강도, 성능, 구조, 회귀, 병행 테스트로 나뉜다.
회복 테스트 |
- 시스템에 여러 가지 결함을 주어 실패하도록 한 후 올바르게 복구되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트이다. |
안전 테스트 |
- 시스템에 설치된 시스템 보호 도구가 불법적인 침입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이다. |
강도 테스트 |
- 시스템에 과도한 정보량이나 빈도 등을 부과하여 과부하 시에도 소프트웨어가 정상적으로 실행되는지를 확인하는 테스트이다. |
성능 테스트 |
- 소프트웨어의 실시간 성능이나 전체적인 효율성을 진단하는 테스트로 소프트웨어의 응답시간, 처리량 등을 테스트 한다. |
구조 테스트 |
소프트웨어 내부의 논리적인 경로, 소스 코드의 복잡도 등을 평가하는 테스트이다. |
회귀 테스트 |
소프트웨어 변경 또는 수정된 코드에 새로운 결함이 없음을 확인하는 테스트이다. |
병행 테스트 |
변경된 소프트웨어와 기존 소프트웨어에 동일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결과를 비교하는 테스이다. |
'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& 요약 - 개발 단계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테스트_⭐ (0) | 2020.07.23 |
---|---|
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& 요약 - 테스트 기법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테스트_⭐ (0) | 2020.07.23 |
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& 요약 -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(0) | 2020.07.15 |
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& 요약 - 논리 데이터 모델의 물리 데이터 모델로 변환_⭐ (0) | 2020.07.08 |
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독학으로 합격하는 방법 및 관련 파일 (5) | 2020.07.08 |
댓글